[종목] TSMC분석(가장 안전한 종목)
1. 메가 트렌드 (정해진 미래인가?):
• 시장 전망:
앞으로 인공지능(AI)을 비롯한 첨단 산업수요는 점점 커질 것이 자명함. 그에 따라서 고성능 반도체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데, TSMC를 제외하고는 파운드리에서 따라올만한 기업이 없음 전혀 없음. 특히 AI 관련 반도체 수요는 TSMC 매출의 약 18%를 차지하며, 2025년에는 이 비중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함
특히 미중간 기술 패권전쟁의 여파로 AI 분야에서 엄청난 경쟁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TSMC는 대체제가 없는 기업임. 최근 엔비디아의 경우 딥시크발 악재, 브로드컴발 악재 등으로 입지가 흔들리고 있지만 TSMC는 업계의 독보적인 1위를 수년간 유지하고 있음.(업계 2위는 삼성전자임)
딥시크발 악재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빅테크를 중심으로 AI CAPEX를 전~~~혀 줄이지 않고 늘려가고 있으며, 중국 또한 자국의 파운드리를 육성하고 있음. 그 만큼 중요하기 때문임.
2. 비즈니스 모델:
• 제품 구성 및 수익 구조:
TSMC는 비메모리를 제조하는 파운드리로써, 팹리스(반도체 설계업체)로부터 주문을 받아서 반도체를 생산하고 있음.주요 고객으로는 애플, 엔비디아, AMD, 퀄컴 등이 있는데, 최근에는 HBM을 만드는 SK하이닉스*라던지 ASIC반도체를 만드는 브로드컴이라던지 새로운 회사들이 점점 더 큰 물량을 맡기는 중
* 엔비디아, 하이닉스, TSMC는 긴밀하게 협업하여 차세대 HBM4의 개발을 진행하고 있을 정도
3. 독점적인 지위 (Moat 분석):
• 기술력:
TSMC는 업계를 선도하는 3nm 및 5nm 공정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시장점유율의 65%를 차지하고 있음. 2위인 삼성전자는 같은기간 9.3%정도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TSMC를 제외하고는 다른 기업들은 특별한 경쟁력은 없어보임. 또한 TSMC는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매년 R&D비용을 10%정도씩 증가시키고 있음
• 네트워크 효과:
앞서 언급했다시피 TSMC는 AI분야에서 빅테크들과 긴밀하게 협업하고 있는데, 이는 다른 파운드리에게는 엄청난 진입장벽이 될 수밖에 없어보임.
• 규모의 경제:
대규모 생산 능력을 통해 원가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이는 가격 경쟁력으로 나타나고 있음.
- 업계 1위인 TSMC는 2~3나노 공정을 위해 24년 한해동안 약 320억 달러의 CAPEX를 집행함. 반면 업계 2위인 삼성전자 또한 3나노 공정을 위해 300억달러를 집행함. 그러나 삼성전자의 경우 메모리와 비메모리의 CAPEX를 합한 것임
- 특히 업계 2위인 삼성전자의 경우에는 SK하이닉스와의 HBM경쟁에서도 밀리면서 이제는 메모리 반도체 점유율 1위 자리 또한 위협받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전처럼 파운드리에 집중하기는 어려운 상황으로 보임
• 경쟁 지속성 평가:
삼성전자, 인텔 등 경쟁사들이 첨단 파운드리 사업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반면, TSMC는 기술력과 생산 능력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음
4. 최근 실적 (최근 4개 분기 기준):
매출이 매년 30%이상씩 늘어나고 있는데, 이런 사이즈의 회사의 매출이 늘어난다는게 정말 독점력이 얼마나 강한지를 보여주고 있음.
그런데 앞으로 매출이 늘어날까? 줄어들까 생각해 보면,
1) AI 기술 패권 전쟁으로 인한 시장 확대, 2) 대체제가 없어 가격 협상력에서 크게 우위를 갖는 점, 3) 다른 기업이 따라올 수 없는 독보적인 해자를 구축한 점(기술력, 규모의 경제, 네트워크 효과, 업계 2위인 삼성전자의 위기 등) 등을 고려하면 앞으로 적어도 5년동안은 비메모리 반도체 1위의 자리는 빼앗기지 않을 것 같음.
5. 밸류에이션 (Valuation):
• 주가수익비율(PER): 24.72배
• 주가순자산비율(PBR): 6.13배
• 자기자본이익률(ROE): 26.4%
6. 리스크와 해결
• (미·중 갈등) 미국과 중국 간의 기술 패권 경쟁이 심화되면서, TSMC는 미국의 수출 통제와 중국의 기술 자급자족 노력 사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 정부는 TSMC에 첨단 기술의 중국 수출을 제한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며, 이는 중국 시장에서의 매출 감소로 이어질 수 있음.
>> 미국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안보 자산으로서의 위치를 공고히 하고 있으며, 미국 정부와 유럽연합 등 주요 파트너국들은 TSMC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정치적·군사적 보호를 강화 중이며, 중국 역시 TSMC의 반도체 공급에 크게 의존하고 있어, 무력 충돌 시 중국 경제 자체가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있음.
• (지진): 대만은 지진 등 자연재해의 위험이 있으며, 이는 TSMC의 생산 시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일본 구마모토 및 미국 애리조나에 생산 기지를 건설함.
결론 :
미중 기술 패권전쟁의 수혜를 입을 AI섹터에 포함되어 있고, 그 중에서는 가장 안전하게 돈을 벌 수 있는 투자처라고 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