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영감

휴직(퇴직)하기 전에 알지 않으면 안되는 것(3인 가족 생활비)

코지호미(cozyhomie) 2023. 1. 9. 05:23

퇴직연습?

퇴직을 연습할 수 있을까요?

공무원에겐 다양한 복지제도가 있는데 그중 유용한 게 휴직제도입니다.

고용이 보장되면서 잠깐의 퇴직을 맛볼 수 있는 것이죠.

 

저는 지난 21년 5월~22년 5월까지 1년간 육아휴직을 했습니다.

1년 간 짧은 퇴직 속에서 처음에는 육아하랴 놀랴 바쁘게 살았습니다.

그러다 22년 새해가 밝았고, 그때부터 조금씩 정신을 차리기 시작했죠.

아이를 어린이집에 등원시키기 시작했습니다.

저는 운동을 하고, 책을 읽고, 재테크에 대해서 파기 시작했죠.

짧은 시간이었지만 크게 성장하는 계기가 됐습니다.

 

하지만 경제활동을 하지 않으니 돈이 계속 줄어들고 있었습니다.

어찌 된 계산인지 모르겠는데, 휴직을 하니 통장에 약 70만 원가량이 매달 꽂히더라고요.

거이에 육아수당이랑 무슨 수당해서 30만 원. 총 100만 원이 생겼었습니다.

그리고 야금야금 그전에 벌어놓은 것 다 까먹으니 현금이  0에 수렴했습니다.

 

이때 느꼈습니다.

퇴직은 하려면 현금흐름이 중요하다는 것을요

아무리 부동산이 있어도, 주식이 있어도 현금흐름이 없으니 스트레스를 받더라고요.

삶을 유지하기가 어려우니까요.

 

하지만, 그전에 적정현금흐름을 산출해야 합니다.

내가 한 달에 얼마나 소비하는지 체크를 해야겠죠?

대분류 소분류 금액(만원) 계(만원)
생활비 부부용돈 100 200
보험료, 관리비, 식비 등 80
여유금 20
금융비 집값 원리금균등상환 110 190
여유금 15
연금저축펀드 65

저 같은 경우에는

부부 용돈 100만 원(각자 고정비, 식비일부 포함)

보험료, 관리비 및 식비 등 80만 원 등 180만 원이 생활비입니다.

여기에 각종 세금이나 여유금을 20만 원 정도 더해줍니다.

200만 원.

 

저희 집 원리금 균등상환으로 110만 원이 들어갑니다.

또 15만 원 여유금으로 더해줍니다.

125만 원.

 

저희 부부는 연금저축펀드를 들고 있습니다.

65만 원.

 

총 390만 원이 저희 집 최소 생계비입니다.

 

이것저것 더해서 이 정도는 나와줘야 퇴직이 가능하다는 소리죠.

 

어쩔 수 없이 퇴직하려면 자동수익이 500 정도는 필요하겠네요~~

나중에 자산이 커지면 배당으로 상당 부분 넘겨서 500을 만들 계획입니다

 

퇴직을 꿈꾸시는 여러분!

꼭 계산해 보시고, 연습도 해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