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투자일지

11월 23일 투자 전략(중국 투자 종료)

by 코지호미(cozyhomie) 2024. 11. 23.

저는 주식 투자에 있어 세계 경제, 특히 주가지수에 꾸준히 투자하되 경기 사이클과 계절성에 따른 주식 조정시기를 금이나 채권, 현금 등으로 헷지하는 전략을 선호합니다.

 

이는 각국의 통화량 공급 증가로 인해 세계 경제 규모가 매년 7~8% 이상 성장하고, 주가지수는 이를 반영한다고 믿기 때문에 주식시장에 참여만 해도 그 정도의 수익은 얻을 수 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미 정부의 재정정책과 경기 부양 노력에 따라 AI, 반도체, 친환경 에너지 등 장기적으로 유망한 분야도 투자하고 있습니다. 테슬라의 경우 AI에 특화된 기업(데이터 : X, AI 활용 : XAI, 뉴럴링크, 로봇, 자율주행, 인프라 : 태양광)이기 때문에 개별기업임에도 불구하고 비중을 늘려갑니다.

 


지수 현황

S&P500은 5,963.56로 전일(5,948.71)대비 +0.25%, 나스닥은 18,982.45로 전일(18,972.42)대비 +0.05%, 다우는 44,250.23로 전일(43,870.35)대비 +0.87%, 러셀2000은 2,403.22로 전일(2,364.02)대비 +1.66%로 마무리 했습니다.

 

IBIT는 +0.95%, TLT는 +0.07%, F&G는 61입니다.

 

오늘은 별다른 움직임이 없는 주가 였습니다. 공포탐욕지수가 조금씩 올라오고 있는 가운데 최근 시장에는 어떠한 악재나 호재도 없지만, 여전히 악재에는 크게, 호재에는 약하게 반응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주가가 여전히 고점 부근이니까요. 따라서 조심조심 한스텝씩 밟아 나가야 합니다.

 

어쨌든 미장이나 국장이나 최근 주가는 조정을 받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경기는 '골디락스'이므로 상승추세에 있다고 보입니다. 그러나 내년 초에 인플레이션 재점화, 부채한도 협상, 미중 무역분쟁, 트럼프의 빅베스 등으로 주가가 흔들릴 가능성이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S&P500의 제 베이스 시나리오입니다.

  • ~24년 말 : 유동성의 힘 - S&P500 5,900~6,000(달성) >> 6,200
  • 24년 1월 : 인플레 대두로 금리인상 압력, 부채한도 협상, 미중 무역전쟁, 빅배스 등 - S&P500 5~10% 내외 조정
  • 2월~5월 : 경기 호황과 인플레 재점화 사이에서 눈치 - 상승 S&P500 7,000
  • 하반기 : 인플레 우려 심화 - 주식시장 20~30% 이상 큰 조정

현재 S&P500은 업사이드가 별로 없다고 보여집니다. 앞으로 연말까지 최대 6,200p까지 상승할 수 있을 것 같지만, 지금까지 너무 많이 오른 점, 채널 상단에 위치한 점 등을 감안하면 업사이드는 크지 않은 상황입니다. 장기적인 매수보다는 트레이딩 관점에서 접근하는 방식이 더 유효할 것 같습니다.

 

한편, 저는 앞으로 상승가능성이 큰 자산이 비트코인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오늘도 비트코인이 신고점을 경신했지만, 이제 모든 사람이 수익이라 저항이 없는 점, 트럼프가 비트코인에 우호적인 점, 비트코인이 우월한 자산이라는 것을 깨닫는 사람들이 많아지는 점, FOMO가 올 수 있다는 점 등을 감안하면 비트코인은 앞으로는 더 오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제대로 상승추세에 돌입한다면 연말까지 100K까지 갈 수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저는 이러한 뷰를 바탕으로 최근 TSLL과 TSLY를 매도하고 BITU(비트코인 2배레버리지)를 매수했는데 그 규모가 약 5천만원 정도 되고 계속 늘리고 있습니다.

 

아울러, 비트코인은 내년에 예상되는 인플레로 인한 경제위기가 도래한다면 주식, 채권보다는 금, 원자재나 비트코인이 훌륭한 헷지수단이 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제가 예상하는 비트코인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습니다. : 

  • ~24년 말 : 74K(달성) >> 100K
  • 25년 1월 : 부채한도 이슈 등으로 인한 조정 가능성
  • 25년 6월 : 최고점 도달(150K ~ 250K)
  • 25년 하반기 : 조정(-20% 정도) * 이번엔 과거와 달리 수요측면에서 탄탄해지고 있음(각 국 정부, 기관, 기업 참여 증가) 
  • 26년 이후 : 약 5~10년 동안 장기적인 우상향

최근 코인시장에서 조금씩 과열 신호가 포착되고 있는데요, 아직 과열 초기라서 시나리오대로 갈 확률이 더 높다고 생각합니다만, 중립적인 입장에서 시장을 바라보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공부를 하다보니, 최근 시장이 1970년대 금 버블과 비슷하다는 생각을하게 됐는데요.

결론적으로 요약하면,

"지금 비트코인의 상승은 사이클적인 측면과 인플레이션에 대한 투자자들의 헷지수단으로 기능하면서 상승하고 있다.

앞으로는 인플레이션의 헷지수단으로 더 각광을 받아, 아마도 버블로 이어져서 파멸적인 상승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어떤 문제로 인해서 그 이후 폭락할 가능성을 꼭 생각해야 한다."입니다.

이렇게 보면 과거 비트코인 사이클과 아주 유사한 측면이 있는데요. 만약에 이러한 시나리오 대로 된다면 비트코인 수량을 늘릴 큰 기회입니다.

https://1991991.tistory.com/entry/비트코인에-대한-긍정론이-확연할-때-고민해봐야-하는-것

 

비트코인에 대한 긍정론이 확연할 때 고민해봐야 하는 것

어쩌면 지금의 상황과 비슷하다.연준의 빠른 금리인상에도 시장에 유동성은 여전히 풍부하므로 인플레이션은 생각보다 잘 잡히지 않고 있고, 트럼프의 관세로 장벽이 인플레이션을 더 자극할

1991991.tistory.com

 

어쨋든 비트코인을 공부하면서 비트코인이 진짜인가에 대해서 매일 고민하고 매일 확신을 얻고 있습니다. 공부를 안해보신 분이라면 꼭 공부해보시길 추천합니다. 최근에 깨달은 점으로 비트코인은 가격상승 등에 있어 선순환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시간이 지나면 가격이 상승할 확률이 매우 높은 강건한 자산입니다.

https://1991991.tistory.com/entry/비트코인이-진짜-무서운-이유10억은-시간-문제

 

비트코인이 진짜 무서운 이유(10억은 시간 문제)

비트코인은 엄청난 선순환 구조를 가지고 있음.만약 내 생각이 맞다면 세계 시총 1등은 물론, 모든 자산이 파괴적으로 비트코인으로 몰릴 가능성도 있음현재 금과 시총 대략 10배인데, 비트코인

1991991.tistory.com

 

 

제 포트폴리오는 순항하고 있습니다.

환율상승, 비트코인 상승을 힘입어서 어제에 이어 전고점을 돌파했습니다.

 

단기적인 투자계획 : 비트코인 비중 확대

11월 20일 기준 : 총 1억 5백만원 추가 매수(ISA 계좌 49백 + 황금거위 계좌 56백)

[ISA] 비트코인 적립식 매수(1차) : 14백만 원 매수 완료(10월 23일~28일)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S&P500 등 주식시장의 상승보다는 비트코인의 상승여력이 훨씬 클 것으로 기대하고 있고, 비교적 확실한 상승이 예상되는 미국과 비트코인에 비해서 중국과 한국 그리고 테슬라의 실적은 불확실합니다. 그렇다고 중국과 한국, 테슬라 중에서 뭐가 더 잘나갈지 판단하는 것도 제게는 어려웠습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비중을 대폭 줄이고 비트코인을 적극 매수하고 있습니다.

  • 10월 23일 0.0539btc 매수(92,771,000 원) : 14백만 원 중 -5백
  • 10월 24일 0.0217btc 매수(92,036,000 원) : 14백만 원 중 -2백, 누적 7백
  • 10월 25일 0.0106btc 매수(94,142,000 원) : 14백만 원 중 -1백, 누적 8백
  • 10월 26일 0.0213btc 매수(93,913,000 원) : 14백만 원 중  - 2백, 누적 10백
  • 10월 28일 0.0422btc 매수(94,666,000 원) : 14백만 원 중 - 4백, 누적 14백(완료)

[ISA] 비트코인 적립식 매수(2차) : 14백만 원(10월 29일~11월 6일)

  • 10월 29일 0.0202btc 매수(98,936,000원)
  • 10월 31일 0.0214btc 매수(100,000,000원)
  • 11월 1일 0.023btc매수(97,861,000원)
  • 11월 1일 0.037btc매수(95,681,000원)
  • 11월 5일 0.0106btc매수(94,620,000원)
  • 11월 6일 0.0308btc매수(97,191,000원) - 누적 14백(완료)

[ISA] 비트코인 적립식 매수(3차) : 16백만 원(11월 8일~11월 10일)

  • 11월 8일 0.0953tc 매수(104,884,000원)
  • 11월 10일 0.0562btc 매수(106,666,000원) - 누적 16백(완료)

[ISA] 비트코인 적립식 매수(4차) : 긁어모으기~

  • 11월 19일 0.0156btc 매수(128,282,000원)
  • 11월 19일 0.008btc 매수(128,257,000원)
  • 11월 20일 0.015btc 매수(130,499,000원) - 누적 5백

[황금거위] 비트코인 적립식 매수 및 트레이딩

당초 BITU를 직접트레이딩 하려고 했지만 에프터장에 트레이딩하기가 좀 어려운 측면이 있어서 무한매수법의 방법론으로 트레이딩하려고 합니다. BITU는 제 생각에 TQQQ나 SOXL처럼 우상향할 것으로 보여지지만 변동성도 크기 때문에 무한매수법으로 접근하는 것도 나쁘지 않아 보였기 때문입니다.

  • 10월 21일 50주 매수(28.9달러)
  • 10월 24일 50주 매도 주문(27.97달러로 after지정가) : 매도 실패
  • 10월 25일 다시 상승추세 진입으로 보유
  • 10월 28일 50주 매수(30.6달러)
  • 10월 29일 200주 매수(33.18달러) >> 차트가 채널을 상승 돌파함 앞으로 변동성이 심해질 것으로 예상
  • 11월 1일 무한매수법으로 전환 66주 매수(29.79달러)
  • 11월 4일 70주 매수(28.11달러)
  • 11월 5일 31주 매수(29.91달러)
  • 11월 7일 105주 매수(34.62달러)
  • 11월 8일 21주 매수
  • 11월 11일 227주 매수
  • 11월 12일 178주 매수
  • 11월 20일 32주 매수 - 누적 1080주

중국 시장 모니터링

중국 증시를 보니 지지선을 완전히 깨고 내려온 듯 합니다. 아마도 트럼프의 중국에 대한 전방위적인 무역압박과 미국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금리인하 기조의 둔화 등으로 인해 중국의 부양책이 한계가 있을 것 같았는데, 시장에서도 비슷한 판단을 한 것 같습니다. 

 

중국 주식은 절반 더 줄였습니다. 매도 자금은 비트코인을 매수하는데 약간 보태쓰면 딱 좋을 것 같네요.

 

지금 고민 중인게, 중국주식을 모두 매도하고 한국주식을 좀 담을까 생각 중입니다.

 

중국 투자 논리는 미국의 금리인하를 하면 중국의 부양책이 나올 확률이 매우 높으므로, 미국의 금리인하의 폭이 크면 클수록 중국에는  좋을 것이라고 생각했는데요.(미국의 달러가 강하면 중국에서 미국으로 부가 이전될 것이기 때문에, 약달러가 생겨야 그 룸만큼 중국도 부양책을 낼 수 있음) 최근 금리인하 가능성이 요원해지면서 중국의 부양책도 쉽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자꾸 듭니다.

 

오늘부로 중국주식이 지지선을 완전히 이탈했으므로, 투자를 종료하겠습니다.

개인적으로 한때 포트폴리오 수익의 큰 축을 담당했던 중국시장인데, 무너지지 아쉽네요.

 

 

도지 코인에 관한 생각

한편, 최근 트럼프에 베팅하여 성공한 일론머스크가 지지하고 있는 도지코인을 보면서 앞으로 도지코인의 내러티브가 강해질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일론머스크의 농담에는 뼈가 있는 경우가 많은데요. 실제로 일론머스크의 전기를 보면 일론머스크는 수년전 농담처럼 "트럼프를 당선시키기위해서 트위터를 산다"라는 이야기를 한 적이 있습니다.

 

그리고 지난 불장때는 SNL에서 나와서 "아이엠 도지 파더!"라고 외쳤었죠? 그리고 이젠 정부효율성위원회(DOGE)를 만들었고 그 수장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X에 아래와 같은 트윗을 올렸습니다. 아~주 의미심장하네요.

한편, 도지코인의 차트를 보면 저점대비 300%상승후에 현재는 조정을 받고 있습니다. 지금 비트코인이 달리는 가운데 도지코인이 이번 상승장의 피날레를 장식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선물로 좀 들어가야하나?)


이상으로 투자일지를 마칩니다.

좋은 아이디어를 주신 하나님께 감사합니다~!

반응형

'재테크 > 투자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월 26일 투자전략  (2) 2024.11.26
11월 4주차 포트폴리오 점검  (1) 2024.11.25
11월 22일 투자전략  (3) 2024.11.22
11월 21일 투자 전략  (2) 2024.11.21
11월 20일 투자전략  (0) 2024.11.2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