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투자일지

10월 11일 투자전략

by 코지호미(cozyhomie) 2024. 10. 11.

저는 주식 투자에 있어 세계 경제, 특히 주가지수에 꾸준히 투자하되 경기 사이클과 계절성에 따른 주식 조정시기를 현금보유 또는 채권확보 등으로 헷지하는 전략을 선호합니다.

 

이는 각국의 통화량 공급 증가로 인해 세계 경제 규모가 매년 7~8% 이상 성장하고, 주가지수는 이를 반영한다고 믿기 때문입니다. 

 

또한, 미 정부의 재정정책과 경기 부양 노력에 따라 AI, 반도체, 친환경 에너지 등 장기적으로 유망한 분야도 투자하고 있습니다. 테슬라의 경우 AI에 특화된 기업(데이터 : X, AI 활용 : XAI, 뉴럴링크, 로봇, 자율주행, 인프라 : 태양광)이기 때문에 개별기업임에도 불구하고 비중을 늘려갑니다.

 


지수 현황

S&P500은 5,780.05로 전일(5,792.04)대비 -0.21% 하락, 나스닥은 18,282.05으로 전일(18,291.62)대비 -0.05% 하락, 다우는 42,454.12로 전일(42,512)대비 -0.14% 하락, 러셀2000은 2,188.42로 전일(2,200.59)대비 -0.55% 하락 마무리 했습니다.

 

IBIT는 -2.1% 하락, TLT는 -0.39% 하락했고, F&G는 71입니다.

 

오늘 아주 약한 조정이 나오면서 골디락스(제 생각)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오늘은 엔비디아가 1.63% 강한 상승을 보여줬고 그 외 눈에 띄게 상승한 종목은 없으나, AMD는 어제와 달리 -4%나 빠졌네요.

 

CPI발표도 제가 조심스레 예측한 대로 예상치보다 높게 나오면서 25bp인하 가능성에 무게가 더 실리는 상황이 됐습니다. 다만, 실업률 등 미국경기가 좋음을 고려하면 이번엔 금리를 낮추지 않고 포워드가이던스만 줄 가능성도 있어 보입니다. 금리를 내렸다가 자칫 인플레가 생기면 오히려 훨씬 좋지 않을 테니까요. 그렇게 되면 단기적으로 조정이 올 수는 있겠지만, 그렇다고 경제가 나쁜 것은 아니니 결국 완만한 상승은 지속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포워드가이던스에서 제가 기다리는 것은 연준의 QT 종료 선언입니다. 금리인하를 하고 있지만, QT를 진행 중이기 때문에 유동성을 빨아들이고 있기도 한데요. 이 정책이 짧은 시일내에 마무리 될 것이라는 신호만 준다면 시장은 환호할 것 같습니다. 

 

다시 "Good is good, Bad is good"장세가 내년 상반기까지 연출될 수 있을 것으로 조심스럽게 예상합니다.

 

제 포트폴리오는 지금은 주식을 상당히 많이 담은 상태이고 아마도 내년 상반기까지는 이 포지션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단기적인 투자계획

KODEX 차이나H레버리지 : TIGER 차이나전기차레버리지와 비중 조절

바로 어제 KODEX 차이나H레버리지를 TIGER 차이나전기차레버리지로 교체매매를 할예정이고, 그 타이밍은 MCHI가 박스권 하단에 있는 경우에 실행한다고 했었는데요. 어제 시장이 열리니 예상과 다르게 그간 많이 올랐던 TIGER 차이나전기차레버리지가 시가 기준으로 -14% 가량 상당히 큰 폭으로 하락한 반면 KODEX 차이나H레버리지는 -5%대로 하락했기 때문에 교체매매를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총 550만 원가량을 교체매매할 수 있었습니다. 장기적으로 KODEX 차이나H레버리지와 TIGER 차이나전기차레버리지의 비율을 5:5로 가져가려고 합니다. 매매방법은 당초와 같이 매일 보유한 차이나H레버리지 ETF의 약 10%를 분할 매도하고, 나스닥에 상장된 중국 대표 지수인 MCHI가 박스권 하단에 있을 때마다 매수하는 전략을 취할 계획입니다. 현재 박스권 하단은 52달러입니다.

 

중국 ETF 매수 이유 : 중국 자본시장의 구조적인 변화

레이 달리오는 최근 중국의 발표를 “뷰티풀 디레버리징”이라고 표현했습니다.

 

그 이유는 중국이 유동성 공급을 시작했기 때문입니다. 이는 미국의 연준 시스템을 모방한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 중앙은행(PBOC)은 자본 시장에 직접적으로 유동성을 공급하고 있으며, 그 규모가 무려 450조 원에 달합니다. 이는 비금융 기관으로부터 유동성이 감소하는 것을 보완하고, 대신 유동성을 공급하는 정책입니다. 또 다른 정책으로는 재대출 정책을 통해 사실상 무제한적인 자본 공급을 약속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책은 아마도 미국의 금리 인하가 시작되었기 때문에 가능했을 것입니다. 위안화의 위상이 이전과 달리 국제 통화로서 어느 정도 기능하고 있기 때문에, 위안화의 수출에 대한 신뢰가 있습니다. 만약 미국이 금리 인상을 하는 상황에서 중국이 금리 인하를 한다면, 중국의 화폐는 상대적으로 약세가 되어 위안화의 결제 통화로서의 위상이 약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어쨌든 중국의 금융 수장들이 나서서 공언한 상황에서, 의지를 갖고 구조적인 변화를 일으킬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중앙은행이 직접적으로 증시에 자금을 투입하면 주식시장이 부양될 것이고, 경제의 뇌관인 부동산으로 자산이 흘러가지 않도록 더욱 노력할 것입니다.

 

TIGER 반도체TOP10레버리지 : 홀딩

D램 시장전망을 가장 잘하는 트렌트포스에서 4Q전망을 내놓았는데요. HBM은 8%~13% 이상의 상승을 D램은 0~5%상승을 예측하고 있습니다. 이에 비해 삼성전자는 너무 급하게 빠진 것 같은데요. 시장이 꺾이는 것이 아닌지 불안하긴 하지만, 좀 더 기다려봐야 할 것 같습니다.

반응형

'재테크 > 투자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월 3주차 포트폴리오 점검  (2) 2024.10.14
10월 12일 투자전략  (11) 2024.10.12
10월 10일 투자전략  (3) 2024.10.10
10월 9일 주식투자 전략  (16) 2024.10.09
10월 8일 주식투자 전략  (6) 2024.10.0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