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투자일지

9월 1주차 포트폴리오 점검

by 코지호미(cozyhomie) 2024. 9. 2.

1. 보유종목 현황

 

총 4개의 계좌에서 약 2.2억원을 운용하고 있습니다.(전 주 대비 -1백만원)

현재 예수금은 23백만원으로 비중은 10.55%입니다.

블랙먼데이 때 매수했던 레버리지들을 상당부분 매도해서 지난주 기준으로 약 300만원 정도 더 익절했습니다.

 

24년까지 전고점을 돌파할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금리인하 및 미국 대선 전후로 S&P500기준 약 5,250~5,700포인트의 박스권 장세를 예상하고, 한두번의 저점, 고점 테스트 후 옐런의 유동성 공급(10월 후반)으로 전고점 돌파하는 시나리오를 그리고 있습니다.

 

그에 따라서 단기적으로 S&P500이 전고점 돌파를 시도하는 지금 공포탐욕지수를 보면서 채권을 제외한 남은 레버리지를 다시 상당부분 매도할 생각입니다. 

 

중장기적인 시나리오 입니다. : 

~ 24년 : 금리인하 및 미국 대선효과로 주식시장과 채권의 완만한 상승 예상되나 금리인하 및 대선 이후 한두번 더 조정 >> 조정 때 주식, 채권 매수

 - 단기적으로 밸류부담이 되는 레버리지 ETF를 팔고 러셀2000, TMF, TLTW, 한국중국 지수 ETF 매수, 엔비디아 100불정도에서 SOXL매수

~ 25년 상반기 : 11~4월 할로윈 효과 및 버블의 마지막 불꽃 예상 >> 주식, 비트코인을 팔고 채권과 현금비중 50% 이상

~ 26년 하반기 : 경제위기 또는 가능성 고조로 시장 폭락, 연준 빅컷 >> 공탐지수 확인하면서 하락 초기 현금 최대 확대 

경제위기 ~ : 하락의 말기(공포탐욕지수 25 미만, VIX지수 40이상)부터 비트코인(선물 3배, 현물), TQQQ, SOXL, TSLL+TSLY 분할매수

 

2. TQQQ

꽤 많이 올라왔습니다.

지난주 생각했던 매도점인 80달러 부근(저는 76달러였음)을 아쉽게 탈환하지 못하고 60달러대로 내려 앉았습니다. 아마 이번주 중에는 전부 익절해야 하지 않나 싶은데, 공포탐욕지수를 보면서 매도할 계획입니다.

 

3. BITCOIN

비트코인은 하락추세에 돌입한게 아닌가 싶을 정도네요.

하지만 제 시나리오상 11월 이후 상승한 다음 경제위기가 오면 폭락하는 그림을 그리고 있으니 조금 더 기다려보도록 합니다.

따라서 올해~내년 상반기까지는 보유 후 매도(목표가 : 2.5억 이상)하고 내년 하반기 경제위기를 대비하기 위해 만든 현금 중 50%를 사용해서 최대한 바닥에서 많이 매수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아마 지난주에 있었던 캐시우드의 대량 매도 이후로 시장이 완전히 얼어붙어 있는 것 같습니다. 분위기 좋았었는데...

 

하지만 이미 방향성은 분명합니다.

바이든은 암호화폐 ETF를 승인해줬고, 트럼프는 준비자산으로 활용한다고 합니다.

해리슨 또한 한표가 중요하기 때문에 암호화폐에 관한 공약을 준비할 것 같고, 푸틴마저 암호화폐 채굴에 긍정적이게 됐습니다.

앞으로 수요는 계속 될 것이고, 공급은 2,100만개로 제한돼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대규모 순유출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하락의 원인입니다.

비트코인에 대한 믿음은 변함없지만 자산이 깎이는 것 같은 환상에 마음이 아픕니다.

 

하락장에서 매수타이밍은 MVRV하단 진입시가 지금까지는 좋았습니다.

 

매도는 분할로 할 생각인데, 기본적으로 사이클마스터 붉은 선에서 30%를 덜고, MVRV 6이상에서 30%, 구글트렌드에서 30%를 덜어내는 식으로 고려할 계획입니다.

 

 

4. TNA

최근 담고 있는 TNA입니다. 지수 모멘텀 측면에서도 우수한 성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상승추세에 있고 지금은 박스권을 그리고 있지만 계속 저점을 높여가면서 연말~연초에 가장 큰 상승을 보여주리라 생각합니다.

 

단기적으로 일부를 박스권 상단에서 일부 매도하고 하단에서 매수하는 역추세 매매를 할 예정입니다.

 

5. KODEX 차이나H레버리지(중국항셍지수)

 

미국 기준금리 하락은 채권과 신흥국 시장에 좋은 영향을 미치는 점, 경제의 카나리아라고 볼 수 있는 한국의 대중 수출이 늘고 있는 점, 지난 블랙먼데이 당시 가장 덜 빠진 점 등을 감안하여 중국항셍지수를 추종하는 레버리지인 KODEX 차이나H레버리지를 담고 있습니다.

 

현재 상승추세에 있고 지난주 지지선을 시원하게 돌파하면서 장대 양봉을 만들었습니다. 그간 미국 시장의 좋은 추세와 상관없이 계속해서 하락했었던 중국 증시이니 만큼 앞으로도 미국시장과 디커플링되어서 자산을 지켜주길 기원합니다.

 

지지선과 추세선을 깨고 내려오면 매수를 멈추고 관망할 계획입니다.

 

6. TIGER 반도체TOP10레버리지(SK하이닉스)

중국 항셍지수와 함께 SK하이닉스를 가장 큰 비중으로 두고 있는 TIGER 반도체TOP10레버리지도 매수했습니다. SK하이닉스는 삼성전자와 비교해서 반도체에 더 크게 노출돼 있기 때문에 아마 SK하이닉스가 이 ETF의 전망을 잘 나타낼 것입니다.

 

매수 이유는 미국 금리인하에 따른 신흥국 수혜, 메모리사이클의 도래, 관세청 무역 수출 중 반도체 수출규모 증가 등을 꼽을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는 AI의 HBM 때문에 올랐다면 앞으로 내년 상반기 까지는  D램이 주도하는 더 큰 장이 열리지 않을까 추측합니다.

 

SK하이닉스는 지지선과 추세선을 깨지 않으면서 조금씩 상승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믿음의 영역임)

 

매수는 TNA와 마찬가지로 지지선, 추세선을 깨면 관망하다가 재돌파 시 조금씩 매수하는 역추세 매매 전략을 활용할 예정입니다.
매도는 내년 상반기 또는 수출입동향 중 반도체가 정점을 찍고 내려오면 실행할 계획입니다.

 

 

매수 근거 : https://1991991.tistory.com/entry/8월-29일-주식시장-대응-SK하이닉스-및-삼성전자-주가전망

 

8월 29일 주식시장 대응, SK하이닉스 및 삼성전자 주가전망

저는 주식을 투자함에 있어 세계경제(대표적으로 주가지수)에 투자하되 금리사이클에 따라 위험시기만 피하는 투자를 지향합니다. 이는 각 국의 통화량 공급으로 세계경제 규모는 매년 7~8%이

1991991.tistory.com

 

7. TSLA(테슬라 : TSLA + TSLL)

 - 개요 : 테슬라를 매수하고 싶지만, 배당을 포기할 수는 없어서 TSLA와 TSLL을 반반씩 섞어 투자하는 전략입니다.

 

- 동향 : 현재 주가는 214.11달러로, 전고점 299달러 대비 -28.46%가 빠졌습니다. PER은 57.88배입니다.

 

- 의견 : 

앞에서 M7의 급격한 상승과 순환매를 언급했는데요.

M7이 오를때 유일하게 오르지 못했던 종목이 바로 테슬라입니다.

따라서 테슬라도 순환매의 수혜가 될 것으로 조심스레 추측해봅니다(희망회로).

 

그런데 제가 차트는 잘 볼줄 모르지만 그 유명한 컵위드핸들 모양이 나온 것 같습니다?

향후 10월 10일 테슬라의 로보택시 발표가 있는 만큼 그 때까지 올라줄 것 같은데요. 

테슬람 사이에서는 미국 중국 일부지역에서 시범사업을 할 수 있다라는 썰이 나오고 있고, 머스크가 중국에 방문한 점 등을 미뤄봤을 때 저도 동감합니다.

 

만약 이번주에 테슬라가 200불대로 조정이 온다면 좀 더 담겠습니다. 바이더 딥!

 

8. CII(Enhanced Captial and Income Fund)

 

- 개요 : 블랙락에서 운용하고 시장 전반에 투자하여 커버드콜로 배당금을 지급하는 폐쇄형 ETF입니다.
 

- 역사 : 상장 이후 SPY와 대동소이한 수익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동향 : 현재 주가는 19.6달러이고, 주가는 순자산가치대비 -8%, 52주 대비 -5.75%, 시가배당률은 6%입니다.

 

- 의견 : 앞으로 가치주가 성장주보다 조금 더 주가 상승이 더 매력적이지 않을까 하는 판단에 이번 조정장 때 가장 많이 매수한 종목 중 하나로 비중 1위입니다. 괴리율을 어서 빨리 회복하길 기원합니다.

 - 참고자료 : https://1991991.tistory.com/entry/CII배당수익률-624-저평가-ETF

 

CII(배당수익률 6.24%) 저평가 ETF

모닝스타 5점펀드인 CII를 소개합니다. 1. 개요 주식에 투자하고 콜옵션, 풋옵션을 쓴다고 합니다. 커버드콜 방식입니다. 피어 그룹 대비 약간 더 낮은 보수를 책정하고 있고, 중간정도의 규모를

1991991.tistory.com

 

 

9. BST(BlackRock Science and Technology Trust)

 - 개요 : 블랙락에서 운용하고, 기술주를 중심으로 투자하여 커버드콜로 배당금을 지급하는 폐쇄형 ETF입니다.

 

 - 역사 : 상장 이후 SPY를 크게 앞지르는 성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 동향 : 현재 주가는 35.2달러이고, 주가는 순자산가치대비 -4%, 52주 대비 -1.5%, 시가배당률은 8.5입니다.

 

 - 의견 : 

상당기간동안 QQQ보다 높은 수익률을 보여줬던 BST입니다. 

차트를 보면 순자산가치도 잘 따라가고 있고, 가장 믿음직스러운 CEF라고 생각합니다.

 - 참고자료 : https://1991991.tistory.com/entry/BST성장주-고배당펀드-843

 

BST(성장주 고배당펀드 - 8.43%)

오늘은 BST(BlackRock Science and Technology Trust)를 소개합니다. BTS와 좀 헷갈리네요 ㅋㅋ 아쉽게도 모닝스타 별점은 없습니다. 1. 개요 BST는 14년 10월부터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투자자산의 80% 이상을

1991991.tistory.com

 

 

10. UTG(Reaves Utility Income)

 - 개요 : Reaves사에서 운영하고, 유틸리티 주식에 투자하여 커버드콜로 배당금을 지급하는 폐쇄형 ETF입니다.
 

- 역사 : 상장 이후 SPY보다 약간 못한 성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 동향 : 현재 주가는 30.06달러이고, 주가는 순자산가치대비 +0.33%, 52주 대비 +0.68% , 시가배당률은 7.58입니다.

 

- 의견 : 역시 노잼 CEF답게 큰 조정장에도 변동성없이 우상향 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정도면 현금 또는 현금보다 낫다 싶은데요? 앞으로 더 기대됩니다.

 

 - 참고자료 : https://1991991.tistory.com/entry/UTG유틸리티-산업에-투자하는-고배당-펀드-865

 

UTG(유틸리티 산업에 투자하는 고배당 펀드 - 8.65%)

오늘은 UTG(Utilty Income Fund)를 소개합니다. 모닝스타에서 별을 3개 준 펀드입니다. 1. 개요 UTG는 총자산의 80%를 유틸리티 산업에 속한 기업에 투자하는 펀드입니다. 아무래도 유틸리티 산업에 투자

1991991.tistory.com

 

 

11. GOF(구겐하임 전략 펀드)

 - 개요 : 구겐하임에서 운용하고, 회사채에 투자하여 커버드콜로 배당금을 지급하는 폐쇄형 ETF입니다.

 

 - 역사 : 상장 이후 SPY보다 앞서는 성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 동향 : 현재 주가는 15.45달러이고, 주가는 순자산가치대비 +28.43%, 52주 대비 +18.14%, 시가배당률은 14.14%

 

 - 일지 : [8월] 211주 15.5달러로 매도, 50주 보유 중

 

12. CCD(Calamos Dynamic Convertible and Income)

 

- 개요 : 칼라모스라는 회사에서 운용하고, 유틸리티 회사를 중심으로 전환사채와 고수익 채권에 투자합니다.


 - 역사 : 상장이후 SPY에 육박하는 수익률을 보여줍니다.


 - 동향 : 현재 주가는 23.74달러이고, 주가는 순자산가치대비 +24.62%, 52주 대비 10.78%, 시가배당률은 9.86%입니다.

 

 - 의견 : 

상승흐름입니다. 5년 장기추세로 봤을 때 고평가 된 시기는 별로 없었습니다. 

오히려 순자산가치보다 저평가된 시기가 많았고 굳이 따지자면 그때가 더 좋은 매수 기회였습니다.

UTG와 마찬가지로 유틸리티쪽에 투자하다보니 최근 주가 퍼포먼스가 좋은 것 같습니다.

 

다만, 역사상 ATH 영역이므로 단기적으로 TQQQ 및 SOXL와 같이 일부 매도 후 향후 기회를 노려서 매수하는 전략을 세워야 할 것 같습니다.

 

 - 일지 : [계획] 131주 분할 매도

 

 - 참고자료 : https://1991991.tistory.com/entry/CCD전환사채-펀드-843

 

CCD(전환사채 펀드 - 9.41%)

오늘은 CCD(Calamos Dynamic Convertible and Income)를 소개합니다. 모닝스타에서 무려 4개의 별을 줬습니다. 1. 개요 CCD는 전환사채와 고수익 채권에 투자하는 상품입니다. 전환사채는 기업이 돈을 모으기

1991991.tistory.com

 

13. FAS

최근 들어 투자원칙을 정리하면서 금리정점~인하기에는 고배당주, 금융주 및 경기방어주(유틸리티, 필수소비재)가 유리하다는 점을 알게되었고, 그러니 UTG의 주가방어가 상당히 좋았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뭘 매수하면 단기간 큰폭의 수익률을 얻을 수 있을까 조금 찾아봤는데, FAS의 티커를 가진 금융주 3배 레버리지가 있었습니다.

 

최근들어 나스닥이 힘을 잃고 있기 때문에 TQQQ와 SOXL대비 FAS가 좀 더 수익률이 좋을 것 같고, 역시 역추세 전략 및 박스권 트레이딩을 할 계획입니다. 매수지점은 110달러 초반을 노리고 있습니다.

 

13. 결론

블랙먼데이 때 매수했던 레버리지 등을 포함하여 상당부분 매도하면 지난 주 약 300만원의 수익을 얻었습니다.

앞으로 S&P500기준으로 5,250~5,700포인트의 박스권 장세를 예상하고 있고, 한두번의 저점 고점 테스트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공포탐욕지수를 보면서 레버리지의 상당부분을 매도하고 저점에서 다시 담는 전략을 짜고 있습니다.

 

현재 매수 중인 TNA, RYLD, TMF, TLTW는 무한매수법으로 접근하되 TNA의 일부는 공포탐욕지수를 보면서 일부 덜어낼 것이고, 반도체TOP10 레버리지와 중국지수 레버리지는 바이더 딥 전략을 활용합니다.

 

또한 TSLA는 200불대, FAS는 110불대에서 매수타이밍을 잡아보겠습니다.

 

다이어리에 적어놓고 일지도 쓰면서 타이밍을 한번 보겠습니다.

 

장기적으로 포트폴리오 재조정이 필요합니다.

- ISA계좌에서는 미국 배당 커버드콜만 담고 황금거위(미국주식)계좌에서는 자산배분 및 트레이딩용 계좌(TQ VR, TQ, SOXL 무매)로 조정

 

 

------

 

제 투자전략은 현금과 원화표시 자산을 팔아서 1)미국의 경제와 2)미국이 무너졌을 경우에 베팅하는 것입니다. 

그게 미국주식과 비트코인입니다.

 

현시점에서 미국의 달러패권이라는 모래성이 조금씩 무너지고 있는 점이 금값 폭등, 미 채권 금리 폭등, 미국 부채 폭등 등으로 목격되고 있습니다. 

중동전쟁 또한 막대한 전쟁비용을 간접적으로 치러야 하는 세계경찰인 미국의 입장에서는 더욱 달러를 찍어 내야 하는 상황입니다. 

원화는 어떨까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환율은 치솟고 있습니다. 

달러가 신뢰를 잃고 있는 상황이지만 원화는 더 신뢰가 부족하다고 시장은 보여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달러가 무너지는 모습을 미국이 그냥 지켜만 보고 있을까요?

지금 주식시장은 미국의 힘으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설사 미국경제가 박살나서 달러가 무너지더라도 원화는 달러대비 더욱 무너지겠지요. 

이 시점에서 제가 택할 가장 좋은 선택은 원화자산을 최대한 갖지 않고 미국경제의 번영과

미국이 망하는 것에 베팅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24년 상반기에 가지고 있던 부동산을 팔았습니다. 

솔직히 좀 낮은 가격에 던졌습니다.

부동산은 원화자산이어서 가격이 고정돼 있어도 환율로 녹을 것이고, 우리나라의 인구가 줄어들고 있는 상황에서는 전망이 어두워 보이기 때문입니다.

제가 보기엔 일자리가 많은 수도권 일부를 제외하고는 별 희망이 없어 보였습니다.

누구나 부동산이 버블이 심한 것을 알고 체감하고 있고, 정부도 그러한데 정부입장에서는 부동산 경기를 띄울 수 없는 상황입니다. 

물론 하방은 막아주겠지만요.

 

인플레이션에 현금(달러 포함)은 녹습니다.

원화자산도 녹습니다.

저는 현금에 숏포지션, 미래 우량자산(미국주식, 비트코인이라고 생각함)에 롱포지션을 취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